인증체계
블록체인 인증 운영 체계입니다.

구분 | 위원회 | 심사 방법 |
1차 심사 | 프로젝트 기본 사항 | 신청 서류에 기재된 내용의 진위여부 검토 및 수정 필요 사항 확인 |
블록체인 기술 적용 제품 및 사업장 확인 | ||
2차 심사 |
블록체인 인증 심의위원회 |
기술의 실제 구현, 품질, 경영 체계 심사 |
기술 분야별 3개 전문 위원회로 구성하여 진행 | ||
1. 제 1 블록체인 인증 심의위원회
– 전기·전자·정보통신 분야 등 IT 2. 제 2 블록체인 인증 심의위원회 – 기계·소재·원자력·화학·과학 등 공학 분야 3. 제 3 블록체인 인증 심사위원회 – 1·2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모든 산업 분야 |
||
기술성 평가
1. 기술성 : 기술개발 현황(인력, 투자, 시설 등), 기술개발방법(자체개발내용, 비중 등), 기술개발방법(자체개발내용, 비중 등), 한계성 극복정도 2. 적용성 : 적용 아이템에서 차지하는 기술적가치의 비중 정도 3. 재현성 : 적용 아이템의 성능을 재현할 수 있는 기술의 완성정도 4. 발전성 : 수직적 측면에서 성장ㆍ발전의 가능성 정도 5. 파급성 : 수평적 측면에서 응용 및 타 아이템 적용 가능성 정도 |
||
경제성 평가
1. 기존대비성능 : 기존유사 산업에 대한 성능의 우위성 2. 생산ㆍ가격 경쟁력 : 시장수요의 충족정도, 가격수준 3. 시장규모 : 신규시장개척, 수입대체 등 시장규모의 정도 |
||
추가 확인사항
심사 중 기준 외 추가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 |